본문 바로가기
세무 & 회계

회계 계정과목 : 재무상태표_자본편

by my-willingness 2023. 5. 23.

자본 계정은 기업의 자본 구성을 나타내는 항목으로, 재무상태표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. 기업의 자본 계정은 자본의 원천과 변동을 추적하며,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소유권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 자본 계정의 주요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I. 자본금

자본금: 회사가 발행한 총 주식 수에 액면금액을 곱한 금액

 

II. 자본잉여금

주식발행초과금: 주식 발행 시 액면금액을 초과하여 납입된 금액

감자차익: 자본을 감소시킬 때 발생하는 이익

자기주식처분이익: 회사가 자기 회사 주식을 취득 후 처분 시 발생하는 이익

 

III. 자본조정

주식할인발행차금: 주식 발행 시 액면금액보다 낮게 납입된 금액

감자차손: 감자 시 발생하는 손실

자기주식: 회사가 자기 주식을 재취득한 경우

cf) 가산항목: 미교부주식배당금, 주식매수선택권, 출자전환채무, 신주청양증거금

     차감항목: 주식할인발행차금, 배당건설이자, 자기주식처분손실, 감자차손, 자기주식

 

IV. 기타포관손익누계액

매도가능평가손익: 매도가능증권을 보유하면서 발생한 평가손익

cf)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소유주와 자본거래를 제외한 거래나 사건에서 인식한 자본의 변동금액으로 매도가능증권

     평가손익, 해외사업환산손익,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등

 

V. 이익잉여금

이익준비금: 상법에 의해 자본금의 1/2에 달할 때까지 현금배당액의 1/10 이상의 금액을 적립한 금액

기타법정적립금: 재무구조개선적립금(상법 이외의 법률에 따라 적립하는 유보 이익)

임의적립금: 회사의 정관이나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임의로 적립한 금액(법률에 의거하지 않음)

미처분이익잉여금: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중 배당금이나 다른 잉여금으로 처분되지 않고 남아 있는 이익잉여금

댓글